10대 그룹 상장사들이 올해 신임이나 재선임한 사외이사 두 명 중 한 명은 '교수'로 채워졌다. 사외이사의 절반이 교수들인 셈이다.
하지만 5대 권력기관 출신의 '힘센 사외이사'는 4명 중 1명꼴로 위세가 여전했다.
9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10대 그룹 소속 상장사들이 올해 정기 주주총회 안건으로 공시한 신임과 재선임 사외이사 후보 126명을 분석한 결과 교수 출신 사외이사가 57명으로 45.2%로 집계됐다.
교수 출신 사외이사 비율은 작년 33.8%에서 45.2%로 11.4%포인트 높아졌다.
기획재정부,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판·검사 등 '5대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는 33명으로 전체의 26.2%로 1년 전 30.8%보다 4.6%포인트 줄었다.
그런데도 권력기관 출신의 4분의 1 이상을 여전히 차지, 보험용이나 바람막이용으로 권력기관 출신 선호는 여전했다.
기관별 사외이사 수는 판·검사 출신이 1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기재부(옛 재정경제부 포함) 출신 7명, 국세청 출신 6명, 공정위 출신 5명, 금융위와 금감원 출신 2명이었다.
권력기관 출신이 떠난 사외이사 자리는 교수들이 대거 채웠다.
그룹별로 교수 사외이사를 신임 또는 재선임한 사례는 삼성그룹 13명(56.5%), SK그룹 11명(45.8%), LG그룹 9명(69.2%), 롯데그룹 8명(61.5%), 현대차그룹 6명(31.6%) 등 순이다.
이들 사외이사를 학교별로 분류하면 서울대가 1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세대 8명, 고려대 5명이었다. 이들 'SKY대' 교수가 전체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56%로 절반이 넘었다. 또 성균관대와 한양대는 각 4명, 한국외대와 경희대 각 2명이다.
그룹별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는 삼성그룹 신임 혹은 재선임 사외이사 23명 중에서 7명으로 30.4%를 차지했다.
삼성카드는 권오규 전 재경부 부총리와 최규연 전 기획재정부 국고국장을, 삼성에스디에스가 유재만 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 부장검사를, 삼성화재는 박대동 전 금감위 국장을 각각 신임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신임 혹은 재선임 사외이사 19명 중 권력기관 출신 인사가 판·검사 출신 5명 등 모두 11명으로 절반이 넘는다.
신임 사외이사는 최은수 전 대전고등법원장(현대자동차), 김덕중 전 중부지방국세청장(기아자동차), 이재홍 전 서울행정법원장(이노션), 임창규 전 광주지방국세청장(현대글로비스) 등이다.
SK그룹의 올해 '5대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는 판검사 2명, 기재부 2명, 국세청 1명 등 모두 5명으로 전체 신임 혹은 재선임 사외이사 24명 중 20.8%였다.
SK네트웍스는 이천세 전 인천지검 부천지청 차장검사를, SK증권은 배선영 전 재경부 감사관실 서기관과 서남철 전 인천지법 판사를 각각 신임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LG그룹의 경우 13명의 신임 혹은 재선임 사외이사 중 권력기관 출신이 3명이다. 정동민 전 서울서부지검장(LG화학)과 백용호 전 국세청장(LG전자)은 올해 신규 선임됐다.
롯데그룹은 신임, 재선임 사외이사 13명 중 권력기관 출신은 정중원 전 공정위 정책국장(롯데손해보험) 등 두 명이다.
GS그룹에선 김경종 전 서울북부지법원장(GS글로벌)이 재선임됐고, 한화그룹은 강석훈 전 서울고법 판사(한화)와 이상용 전 재경부 경제협력국장(한화손해보험)을 각각 재선임했다. 한진그룹은 이석우 전 서울지법 남부지원 판사(한진칼)와 박상용 전 공정위 사무처장(한국공항) 등 2명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올해 신임 혹은 재선임 사외이사 중 권력기관 출신 인사가 없는 그룹은 포스코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