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판매는 57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한국판 블프' 영향
지난 10월의 전체 산업생산이 하락세로 반전하면서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수출이 부진해 산업생산의 핵심 부문인 광공업 생산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기획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블프)' 행사 등 내수 진작 정책의 영향으로 소비는 57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며 호조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10월의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3% 감소했다.
이런 감소 폭은 올해 1월(-1.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월별 산업생산은 지난 6월 0.6% 늘어난 이후 7월 0.5%, 8월 0.5%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 9월의 산업생산 증가폭(2.5%)은 4년6개월(5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10월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호조를 보이던 산업생산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린 한 것은 부진한 수출이다.
10월 수출(통관 기준)은 작년 같은 달보다 15.9% 줄었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9년 8월(-20.9%) 이후 6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 2011년부터 4년간 이어온 '연간 수출 1조달러' 행진도 올해는 사실상 어렵게 됐다.
수출 부진으로 생산의 핵심 부분인 광공업생산이 전월보다 1.4% 줄었다.
일부 업체의 정기 보수 기간까지 겹친 탓에 화학제품 생산이 4.0% 감소했고 자동차부품 생산 감소로 자동차 생산도 2.8% 줄었다.
제조업 재고는 한 달 전보다 2.1% 감소했지만,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5.4% 늘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1.4%포인트 하락한 73.8%를 나타냈다.
제조업 재고율은 126.8%로 전월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1.9%), 부동산·임대(2.1%) 등이 늘어 전월보다 0.2% 증가했다.
생산이 부진했지만, 소비는 계속해서 호조를 보였다.
소비동향을 볼 수 있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3.1% 증가했다.
이는 2011년 1월(4.0%) 이후 57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최정수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 등 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1.6% 줄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8.1%)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전제품 등 내구재 판매도 7.7% 늘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선박) 투자가 줄어 전월보다 0.8% 감소했다.
공공부문 수주는 감소했으나 민간부문 제조업체와 기타운송장비, 자동차 등에서 수주가 늘어 국내 기계수주는 6.0% 증가했다.
이미 이뤄진 공사 실적을 의미하는 건설기성은 건축과 토목공사 실적이 줄어 전월보다 7.8% 감소했다.
건설기성은 지난 4월(-2.1%) 이후 6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건설수주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7.5% 증가했는데, 주택과 연구소, 관광서, 발전·송전 수주가 늘었기 때문이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상승했다.
내수 출하지수와 건설기성액이 감소했지만 소매판매액지수, 수입액 등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올랐다.
재고순환지표, 소비자기대지수 증가가 경기선행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그러나 정부가 기획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블프)' 행사 등 내수 진작 정책의 영향으로 소비는 57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며 호조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10월의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3% 감소했다.
이런 감소 폭은 올해 1월(-1.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월별 산업생산은 지난 6월 0.6% 늘어난 이후 7월 0.5%, 8월 0.5%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 9월의 산업생산 증가폭(2.5%)은 4년6개월(5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10월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호조를 보이던 산업생산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린 한 것은 부진한 수출이다.
10월 수출(통관 기준)은 작년 같은 달보다 15.9% 줄었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9년 8월(-20.9%) 이후 6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 2011년부터 4년간 이어온 '연간 수출 1조달러' 행진도 올해는 사실상 어렵게 됐다.
수출 부진으로 생산의 핵심 부분인 광공업생산이 전월보다 1.4% 줄었다.
일부 업체의 정기 보수 기간까지 겹친 탓에 화학제품 생산이 4.0% 감소했고 자동차부품 생산 감소로 자동차 생산도 2.8% 줄었다.
제조업 재고는 한 달 전보다 2.1% 감소했지만,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5.4% 늘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1.4%포인트 하락한 73.8%를 나타냈다.
제조업 재고율은 126.8%로 전월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1.9%), 부동산·임대(2.1%) 등이 늘어 전월보다 0.2% 증가했다.
생산이 부진했지만, 소비는 계속해서 호조를 보였다.
소비동향을 볼 수 있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3.1% 증가했다.
이는 2011년 1월(4.0%) 이후 57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최정수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 등 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1.6% 줄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8.1%)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전제품 등 내구재 판매도 7.7% 늘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선박) 투자가 줄어 전월보다 0.8% 감소했다.
공공부문 수주는 감소했으나 민간부문 제조업체와 기타운송장비, 자동차 등에서 수주가 늘어 국내 기계수주는 6.0% 증가했다.
이미 이뤄진 공사 실적을 의미하는 건설기성은 건축과 토목공사 실적이 줄어 전월보다 7.8% 감소했다.
건설기성은 지난 4월(-2.1%) 이후 6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건설수주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7.5% 증가했는데, 주택과 연구소, 관광서, 발전·송전 수주가 늘었기 때문이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상승했다.
내수 출하지수와 건설기성액이 감소했지만 소매판매액지수, 수입액 등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올랐다.
재고순환지표, 소비자기대지수 증가가 경기선행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저작권자 © 日刊 NTN(일간N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日刊 NTN
kukse219@naver.com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