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비식별성을 보증하는 국제 준거로 역할 기대"
개인정보 비식별화 활용 정책·제도 설계 시 참고
개인정보 비식별화 활용 정책·제도 설계 시 참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14일 금융보안원(FSI)과 공동 제안한 '데이터 비식별화 보증요건(X.rdda)'이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에서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고 공개했다.
KISA와 FSI는 데이터 비식별화 보증요건을 지난 2018년 10월 ITU-T 신규 아이템으로 제안했고, 순천향대와 5년여간 기고문을 제출하며 표준 채택에 힘을 써 왔다. 제안한 국제표준은 데이터의 비식별화를 보증하기 위한 요구사항의 내용을 담았다.
KISA와 금융보안원은 2020년에는 해당 표준 채택 이전에도 공동으로 ITU-T 국제표준인 '비식별 처리 프레임워크(X.1448)'를 개발했다. 이 표준의 후속으로 개발된 데이터 비식별화 보증요건은 비식별화된 데이터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첫 국제표준이다.
향후 주요국가들이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해 활용하려는 정책과 제도 설계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준거가 될 수 있다.
이원태 KISA 원장은 이날 "그동안 비식별화된 데이터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공인된 국제적 기준이 없었는데, 기업과 기관들이 적정성 여부를 검토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공동 개발한 김철웅 FSI 원장은 "금융보안원은 디지털 금융의 안정화와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금융 보안과 데이터 분야에서 요구되는 표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日刊 NTN(일간N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춘규 기자
choongyulee@intn.co.kr
다른기사 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