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조원→2022년 21조원...국세 카드납부액 3년새 10조원 증가
한병도 의원 “영세 납세자 부담 가중, 신용공여 방식 등 제도 개선 마련해야”
한병도 의원 “영세 납세자 부담 가중, 신용공여 방식 등 제도 개선 마련해야”

국세 카드납부액이 2019년 11조4천억원에서 2022년 21조6천억원으로 3년새 10조원 이상 늘어났고, 납세자가 부담한 수수료도 지난 4년간 487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한병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로 납부한 국세가 2019년 11조4534억원, 2020년 14조425억원, 2021년 16조3672억원, 2022년 21조6675억원으로 매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법상 수수료가 면제되는 지방세와는 달리 국세는 0.5~0.8%의 수수료율을 납세자가 부담한다. 이에 따라 국세 카드납부 수수료도 2019년 879억원에서 2020년 1073억원, 2021년 1256억원, 2022년 1662억원으로 지난 4년간 총 487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총 국세납부액 대비 카드납부액 비중도 2019년 3.7%, 2020년 4.4%, 2021년 4.4%, 2022년 5.2%로 늘어나며 세 수입 증가보다 카드납부 증가폭이 더 가파른 것으로 확인됐다.
한병도 의원은 “국세 카드납부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영세한 납세자가 수수료 부담까지 떠안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면서 “과세당국은 국세도 신용공여 방식 도입을 검토하는 등 납세자 부담 완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日刊 NTN(일간N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승겸 기자
ori240@intn.co.kr
다른기사 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