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근로시간단축 경영에 부정적… 유연근무제로 갈 것"
한경연 600대 기업 설문조사…대기업 과반 ‘경영실적 부정적’ 전망 기업, “생산현장 어려움 겪을 것…탄력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 희망" 근로시간단축시행 D-24…임금보전요구, 노사충돌, 추가인건비 등 예상
대기업들 중 절반은 '근로시간 단축시행이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해 '근로시간 유연화' 등 생산성 향상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 과정에서 노조의 임금 보전 요구, 노사 간 의견 충돌, 추가 인건비 부담 등이 주요 애로사항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7일 "최근 2017년 매출액 600대 대기업 중 근로시간 단축 대상 327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5.4%가 '근로시간 단축시행이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응답한 기업 중 72.3%는 ‘생산현장(공장)’이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35.7%)와 ‘생산성향상 과정에서 노사간 의견 충돌’(29.5%)을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 시행을 앞두고 ‘생산성 향상’(74.3%)을 주요한 대응계획으로 선택했다. 사무·연구개발 분야는 ‘유연근로시간제 실시’(54.2%)와 ‘집중근로시간제 실시’(43.4%)를 대책으로 답변했다. 생산현장은 ‘교대제 개편’(50.6%)을 대책으로 꼽았다.
과반의 기업이 근로시간 단축을 한국 노동시간에 연착륙시키기 위해 현재 2주인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 기간을 3개월로 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그 다음으로 ‘근로시간저축제도’ 도입을 희망했다.
한경연은 근로시간 단축이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연착륙하기 위한 조건으로 노사의 협력과 양보로 생산성 향상을 하고, 탄력적근로시간제 단위기간을 선진국 수준으로 연장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7월1일부터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대기업과 국가·지자체·공공기관에 근로시간이 1주 52시간으로 단축 시행된다.